컨테이너 영역

컨텐츠 내용

MG Issue

이코노미 이슈

금리는 또 오른다는데
연말 절세 전략 이렇게 세우자

연말정산을 준비해야 할 계절이다. 해가 바뀌기 전에 자산을 불리면서도 세금은 적게 낼 수 있는 절세 상품에 관심을 가질만한 시기다.

전략1. 세금혜택 많이 받을 수 있는 상품을 주목할 것

대표적으로 새마을금고를 비롯한 상호금융에는 비과세 혜택이 있다.1인당 최대 3,000만 원까지 소득세(14%)를 비과세하고 농어촌특별세 1.4%만 내면 된다. 다만 개별 금융기관이 아닌 전체 상호금융권 내에서 3,000만 원 한도라는 점을 알아둘 필요가 있다. 출자금도 1,000만 원까지는 소득세가 면제된다.
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(ISA)는 한 계좌로 다양한 금융 상품에 투자할 수 있는 ‘만능 통장’으로 불린다.투자 대상은 예금, 적금, 펀드, 상장지수펀드(ETF), 주가연계증권(ELS)까지 제한이 없다. 금융소득 2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받는다. 다만 ISA를 통해 펀드에 투자했을 때 계좌 만기 시점에 수익률이 급감한다면 손실을 볼 수 있다.
연금저축과 개인형 퇴직연금(IRP)은 국내 출시된 상품 중 세금 혜택이 가장 많다. 연금저축은 연간 400만 원까지, IRP는 추가로 300만 원까지 총 7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. 주의해야 할 점은 연금저축은 납입 기간이 최소 5년 이상으로 길고, 연금 수령도 만 55세가 넘어야 한다는 것이다. 만약 중도 해지를 하게 되면 세액공제를 받은 금액에 기타소득세(16.5%)를 추가로 물어야 한다. IRP도 중도 해지가 어렵다. 사망, 천재지변, 6개월 이상 장기 요양 등이 아니면 해지 시 이제까지 받았던 세금 혜택을 도로 뱉어내야 한다. 금융권 관계자는 “ISA와 연금저축 등은 절세 효과 못지않게 상품 자체 수익률을 꼼꼼히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.”고 말했다.
만 64세 이상이라면 비과세종합저축 계좌를 만들면 좋다. 일반 예금은 이자 소득의 15.4%를 세금으로 내는데 이 저축에서 발생한 이자·배당 소득은 전액 비과세다. 저축 원금은 5,000만 원까지다. 기존에 세금우대종합저축과 생계형저축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 5,000만 원에서 이를 차감한 금액만큼 가입할 수 있다.

전략2. 국세청 '연말정산 미리보기'로 세금 규모 체크할것

연말정산이 ‘13월의 보너스’가 되려면 올해 지출 내역과 예상 세액을 미리 점검해 남은 기간 절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유용하다. 국세청의 ‘연말정산 미리보기’ 서비스를 이용하면 연말정산 후 돌려받거나 더 내야 할 세금 규모를 대략적으로 알 수 있다.
소득공제를 받기 위해서는 올해 카드 사용액이 소득의 25%를 넘어야 한다. 연봉의 25%를 넘게 사용했다면 신용카드는 15%, 체크카드·현금영수증은 30%의 소득공제율이 각각 적용된다. 공제 한도는 300만 원이다. 신용카드 소득공제 한도가 이미 다 찼다면 체크카드 같은 다른 결제 수단을 사용하는 게 절세에 유리하다. 특히 올해부터는 7월 1일 이후 신용카드로 결제한 도서구매비와 공연관람료의 30%를 소득공제 받을 수 있다. 총 급여 7,000만 원 이하 근로소득자가 대상이다. 300만 원 한도를 초과하더라도 최대 100만 원까지 추가로 소득공제가 가능하다. 또 교복·체육복 구입비, 취학 전 아동의 학원비, 안경(콘택트렌즈) 구매 비용 등은 영수증을 직접 수집해서 회사에 내야 세액공제가 된다.

전략3. 금리상승기, 빚 줄이기에 들어갈 것

금리상승기를 맞아 재테크 전략의 리모델링도 필요한 시점이다. 미국은 12월뿐 아니라 내년에도 4차례 금리 인상이 예상되고, 이 같은 기조에 발맞춰 국내 금리도 올라갈 전망이다. 당장 사용하지 않을 자금이라면 1~2개월 식으로 기간을 정해 정기예금으로 가입하고 자동연장 되도록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 금리 인상기에는 만기가 긴 상품에 가입할수록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금리 효과가 반감될 수 있기 때문이다.
아울러 대출금리가 상승할 것으로 여겨지는 상황에서는 과도한 빚을 줄여나가는 것을 제1원칙으로 삼아야 한다. 불가피하게 대출을 해야 한다면 최대한 규모를 줄이는 게 낫다. 신규대출을 받을 경우 통상 고정금리 대출의 금리가 변동금리 대비 높아 3년 이상의 대출은 고정금리, 그 이하는 변동금리로 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. 일반적으로 1년 후 기준금리가 지금보다 0.5% 포인트 이상 높아진다고 본다면 변동금리 조건보다는 고정금리 대출이 2~3년 이상을 사용하는 대부분의 금융소비자에게 더 낫다.

글. 황정원 기자(서울경제신문)